![]()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[Terraform] github codespaces에서 Terraform 사용하기 1편 | Linux에 terraform 설치 (tistory.com) [Terraform] github codespaces에서 Terraform 사용하기 1편 | Linux에 terraform 설치 왜 Linux에서 돌리게 되었는가? AWS 요소 관리를 위해서 테라폼을 사용하려는데, 싸지방 컴에 직접 깔자니 껏다키면 리셋되는 문제가 있었다. 그래서 외부 서버를 사서 접속해서 code를 run 할까하다 pypystory.tistory.com 1편에서 볼 수 있었듯 github codespace 위에서 terraform을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. 근데 여기서 한가지 문제가 있다. 발생한 문제 바로 github codespac..
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![]()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원래 갖고 있던 EC2에서 React로 만든 웹을 docker로 호스팅하고 있었다. 근데 새로운 웹을 하나 더 만들고 서브도메인으로 호스팅하고 싶었다. 앞에 Nginx 웹서버에서 들어오는 도메인에 맞춰서 포트를 나눠주면 잘 되지 않을까..?라고 생각했는데 2가지 문제에 부딪혔다. 사실 하나의 문제라고도 볼 수 있는데, 지금 쓰는 서버가 프리티어로 t2.micro라는 점이다. 첫번째로는 CPU가 못버텼다. build한 파일만 올려서 호스팅했으면 좀 달랐으려나 라는 생각이 있긴한데, 사이드 프로젝트에 build만 자동화해서 올리게 붙이기는 오버였고, npm install이나 start, build 과정이 너무 오래걸렸다. 두번째로는 처음에 EBS 용량을 8GB로 작게 설정해뒀더니 용량이 초과하는 이슈도 있었..
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![]()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지금 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React-Native 기반의 앱에서 사진을 찍어서 upload 요청을 하면, 받아서 S3에 올리고, 다시 꺼내주는 API를 만들어야했다. 처음에는 REST API 대신, 원래쓰던 GraphQL로 트라이 하다가, 몇번에 실패 후 사진 업로드 모듈만 따로 REST로 때어냈다.(아 아무튼 사진만 업로드 되면 되니까...) 하는김에 AWS 보안 설정도 좀 더 손봐서 추가해본다. 1. AWS IAM 사용자 추가 및 Access Key 발급 AWS 콘솔에 root 유저로 로그인 되어있다는 가정하에, 좌측 상단에서 IAM 검색 -> 사용자 -> 사용자 추가 위와 같이 액세스 키, 암호를 할당, 이후 쭉쭉 다음 눌려서 검토 후 생성 -> 이때 key를 csv로 받을 수 있고, 유저 이름과..